영어문법

주격 관계대명사 who, which, that 제대로 이해하기

futurenotes 2025. 7. 6. 07:00

💡 두 문장을 한 문장으로 잇는 마법

영어 공부를 하다 보면 문장을 간단하게 말하고 싶은 욕심이 생깁니다.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소개할 때 "그는 나를 도와준 남자야."라고 하고 싶을 때, 우리는 두 가지 정보를 한 문장에 담고 싶어하죠. “그는 남자야.” / “그는 나를 도와줬어.” 이 두 문장을 하나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법이 있을까? 그럴 때 바로 관계대명사, 그중에서도 주격 관계대명사라는 문법이 등장합니다.

문법책에서는 흔히 “선행사 + 관계대명사 + 불완전한 절”이라는 구조로 설명하지만, 그보다 중요한 건 우리가 실제로 어떤 생각을 하면서 이 표현을 쓰는지를 이해하는 것입니다. 문법은 단지 암기 대상이 아니라, 말하고 싶은 걸 더 간결하고 명확하게 만드는 도구니까요. 이번 글에서는 영어 문장을 더 자연스럽게, 더 유려하게 만들어주는 주격 관계대명사의 구조와 감각을 이해해봅니다.

 

 


💡 주격 관계대명사는 어떤 구조인가?

먼저 가장 기본적인 예문부터 살펴볼게요. He is the man who helped me. (그는 나를 도와준 남자야.) 이 문장은 원래 두 문장으로 나뉘어 있었어요. 1. He is the man. 2. He helped me. 이 두 문장에서 'He'는 두 번 등장하죠. → “그는 남자야”와 “그는 나를 도와줬어” 이때 영어는 두 문장의 공통된 주어를 없애고, 그 자리에 who를 넣어서 문장을 연결합니다. 이처럼 who, which, that 같은 단어가 두 문장을 연결해주는 동시에, 새로운 문장에서 주어 역할을 하게 되는 구조를 우리는 주격 관계대명사라고 부릅니다.

쉽게 말해, 같은 대상을 두 번 반복하지 않기 위해 등장한 연결고리이자 대체어라고 볼 수 있어요.

 

 

 

💡 who, which, that의 쓰임과 차이

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who, 어떤 경우에 which, 그리고 that은 언제 쓸까요?

✔️  who → 사람을 선행사로 받을 때  
 The teacher who teaches us is very kind.

✔️  which → 사물이나 동물을 받을 때  
 The book which explains this is out of print.

✔️  that → 사람, 사물 모두 가능 (다소 일반적이고 실용적인 느낌)  
 The student that won the prize is my friend.

 

그런데 이렇게 정리하고 외워도 실제로 사용할 땐 헷갈릴 수 있어요. 그래서 문장의 해석 방향으로 접근해보는 게 훨씬 실용적입니다.

 

예를 들어, 
The girl helped me.  → 그 소녀는 나를 도와주었다.
The girl is my friend. → 그 소녀는 내 친구이다.
The girl who helped me is my friend. → 나를 도와준 그 소녀는 내 친구이다.
이런 식으로, 두 문장이 한 인물을 중심으로 연결될 수 있을 때 주격 관계대명사가 쓰입니다.

 

 

 

주격 관계대명사 who, which, that 제대로 이해하기

 

 

💡 주격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을까?

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하나 더 있습니다. “그럼 이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을까?” 정답은 주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. 예를 들어, The man who helped me is a doctor. → 여기서 “who”를 빼면 “helped me is a doctor”가 되는데, 주어가 사라져서 문장이 성립되지 않습니다.

반면,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이 가능합니다. The book (which) I bought yesterday is great. → 이 문장에서는 I가 주어이고 which는 목적어이므로 생략이 가능합니다.

이 차이를 정확히 아는 것만으로도 문장 구조에 대한 이해가 훨씬 깊어집니다.

 

 

 

💡 왜 이 문법이 중요할까?

주격 관계대명사는 단순한 연결 수단이 아닙니다. 중복을 피하고, 문장을 유려하게 만들고, 정보를 정리하는 문장의 핵심 기둥이 될 수 있어요. 영어 글쓰기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세련된 도구 중 하나죠. 한 문장 안에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담고 싶을 때, 주격 관계대명사를 활용하면 독자에게 더 깔끔하고 정돈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.

이 문법이 낯설게 느껴졌다면, 아마도 그것이 '공식'처럼만 외웠기 때문일 거예요. 하지만 실제로는, 우리가 머릿속에서 하고 있는 자연스러운 연결을 언어로 표현하는 장치 중 하나랍니다.